1
사무총장 홍해 나포 화물선 선원 석방에 대한 성명 발표
IMO
,
년 월 홍해에서 후티 반군에 의해 억류된 화물선 갤럭시 리더호
2023 11 ,
(Galaxy Leader)
의
선원들이
일 만에 석방됨 이에 따라 아르세니오 도밍게스
사무총장은 다음과 같은
430
.
,
IMO
성명을 발표함.
▶
사무총장은 갤럭시 리더호 선원들의 석방을 환영하며 선원과 그 가족뿐 아니라 해운부문
, “
전반에 걸쳐 깊은 안도감을 주는 순간 이라고 전함
”
.
▶
또한 선원들의 석방을 위해 헌신적으로 지원하고 전략적으로 협력해준
회원국 지역
,
IMO
,
기구 및 국제 파트너에게 감사를 전하며 오늘의 성과가 집단적 외교와 대화의 힘을
, “
보여주는 중요한 사례 라고 강조함
”
.
▶
사무총장은 무고한 선원들이 지정학적 긴장의 부수적 피해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다시
한번 강조하며 이번 석방을 통해 홍해에서 선박의 정상적인 운항이 재개될 것으로 예상되나
,
항행의 자유는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함을 언급함.
▶
끝으로
는 공급망 안정을 위해 필수적인 임무를 수행하는 선원들이 계속해서 직면하는
IMO
위험을 해소하고 그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함
,
.
이 정 윤 연구원
jylee@imkmc.or.kr
제
호
25-5 ❘ 2025. 2. 10.
2
소식 국제해사동향 제
호
IMO
&
25-5
브루나이 해상 책임 및 보상 제도 강화를 위한 지역워크숍 개최
,
브루나이 다루살람 해양항만청(Maritime and Port Authority of Brunei Darussalam,
MPABD)
과
는
통합기술협력프로그램
IMO IMO
(ITCP)
의 일환으로 브루나이 다루살람에서
책임 및 보상 협약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워크숍을 개최함
IMO
.
▶
동 워크숍은 브루나이와 말레이시아가 공동으로 지원하였으며 월 일부터 일까지
, 1 20
24
개최되어 개 회원국
14
* 대표가 참석함
.
워크숍은 참가자들에게 협약의 개요 개발 및 원칙
,
,
실제 적용에 대한 포괄적 정보를 제공함.
*
방글라데시 브루나이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몽골 네팔 파키스탄 필리핀
,
,
,
,
,
,
,
,
,
,
,
,
싱가포르 스리랑카
,
해상 책임 및 보상 제도 강화를 위한 지역워크숍 출처
<
.
: IMO>
의 책임 및 보상 협약은 해상 사고
IMO
유류 유출 난파선 제거 선박 충돌 등
(
,
,
)
피해자에게 적절하고
신속하며 효율적인 비용 회수와 보상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협약으로 사고 피해자가
,
선주에게 책임을 묻는 동시에 공정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핵심적인 조항 국제 법률 및
,
지침이 포함됨.
행사 개회식에서 브루나이 교통정보통신부 장관은
관련 협약 가입과 국내법 도입을
IMO
촉구하였으며 워크숍의 역할이 해상 사고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지속가능한 해운을 만들어
,
나가는데 있음을 언급함.
법률 외부협력국
IMO
·
,
국제유류오염보상기금(IOPC Funds)
클럽의 전문가들이 워크숍의
, P&I
발표와 토론을 주도했으며 참석자들은 국내법 도입 관련 과제 및 솔루션에 대해 통찰력을
,
공유하고 지식 공유 및 협업을 촉진함.
이 정 윤 연구원
jylee@imkmc.or.kr
3
국제해사동향
공지
IMO
회의 및 행사 공지
[
]
사무국
내항여객선 안전 우수 사례 온라인 공유 포럼 개설 안내
(
) IMO
(CL.4957, ’25.1.28.)
▶
는 여객선 안전 개선을 지원하고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협력 촉진을 위해 내항여객선
IMO
,
안전 우수 사례 온라인 공유 포럼 개설을 추진함 이 포럼은
로이드
.
IMO, WMU, IMLI, LRF(
재단 협력을 통해 진행됨
)
.
▶
회원국 및 관계기관은 여객선 안전 향상 사례를 영상 연구결과 기술 도입 사례 등 다양한 형식
,
,
으로 월 일까지 제출
4 30
(safety@wmu.se
할 수 있으며 채택된 사례는 포럼에 공유될 예정임
)
,
.
사무국 제 차
협약이행 전문위원회
개최 알림
(
) 11 IMO
(I I 11)
(CL.4961, ’25.1.28.)
▶
는
기간 동안 제 차
협약이행 전문위원회를 런던 본부에서 병행
IMO ’25.7.21.~25.
11 IMO
회의 형태로 개최함.
▶
주요 의제는 항만국통제
절차의 조화 원격 검사 및 감사 지침 개발 선박 해양플라스틱
(PSC)
,
,
폐기물 해결을 위한 활동계획
후속
(Action Plan)
작업 등이며 의제문서는
페이지
,
’25.4.18.(6
초과
페이지 이하 및
코멘트 문서 까지 제출해야 함
), ’25.5.16.(6
) ’25.5.30.(
)
.
사무국
협약 주년 기념행사 개최 알림
(
) FAL
60
(CL.4964, ’25.1.29.)
▶
는 런던 본부에서
협약 주년 기념 행사
를 개최함
IMO
FAL
60
(3.10.)
.
▶
행사는 패널 토론 형식으로 진행 영어 되며 협약의 발전 과정 중요성 디지털화 및 자동화 등
(
)
,
,
,
미래 방향에 대한 의견을 공유할 예정임.
4
소식 국제해사동향 제
호
IMO
&
25-5
제 차 해양오염방지 대응 전문위원회
주요 결과
IMO 12
·
(PPR)
출처
결과보고서
선급 보고서
(
: IMO
& Lloyd
, ’25.1.31.)
□
년 월 일부터 일까지
본부에서 제 차 해양오염방지 대응 전문위원회
가
2025 1 27
31
IMO
12
·
(PPR)
개최되었으며 의제 목록과 중점 논의사항은 아래와 같음
,
.
번 호
의제 제목
비 고
의제 1
의제의 채택
의제 2
타기구 결정 사항
의제 3
선박운송 화학제품 오염성 위해성 평가 및
코드 개정
·
IBC
중점 논의
의제 4
고점성 및 고융점을 지닌 화물에 대한 화물창 스트리핑,
탱크 세정 조작 및 예비 세정의 효과성을 개선하기 위한
의 개정
MARPOL Annex II
의제 5
수중청소 관련 사항 지침서 개발
중점 논의
의제 6
국제해운에서 배출되는 블랙카본이 북극지방에 미치는 영향 중점 논의
의제 7
조건과 지역을 고려한 수질환경에 배출되는
배출수
EGCS
평가 및 통일된 규칙과 지침 마련
중점 논의
의제 8
이 적용된 선박 디젤엔진 관련 특정 요구사항에 관한
SCR
의 추가적인 측면을 다루는
NOx Technical Code 2008
년 지침의 개정
2017
의제 9
지침서 검토와
증서 및 기름기록부 개정
IBTS
IOPP
의제 10
부속서 와 관련 지침서의 개정
MARPOL
Ⅳ
중점 논의
의제 11
선박 기인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조치
계획의 후속 작업
중점 논의
의제 12
환경 관련 협약 조항들의 통일해석
IMO
의제 13
격년의제
및
잠정의제
(biennial agenda) PPR 13
의제 14
년 의장 및 부의장 선출
2026
의제 15
기타 의제
5
국제해사동향
중점적으로 논의된 의제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음
□
가 선박운송 화학제품 오염성 위해성 평가 및
코드 개정 의제
.
·
IBC
(
3)
바이오연료 혼합유
운송 임시지침이 개발됨 본 지침은 기존
부속서
(Bio-30)
.
MARPOL
제 장의 요건을 충족하는 급유선이 바이오연료가 최대
혼합된 연료를 운송할 수 있도록
I
30%
허용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음.
▶
해당 임시지침은 지난 제 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
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해 제
81
(MEPC 81)
차 화학물질의 오염위험과 안전평가
작업반회의
에서 검토
30
PPR
(ESPH 30)
·
승인되었고,
이번
에서 승인됨으로써 최종
월 에서 채택 예정임
PPR 12
MEPC 83(’25.4 )
.
나 수중청소 관련 지침서 개발 의제
.
(
5)
선체부착생물의 수중청소에 관한 지침서
‘
(Guidance on In-water Cleaning of Ships’
초안을 완성했으며 주요 논의사항은 다음과 같음
Biofouling)’
,
.
▶
➊
ISO 20679*
표준의 참조 여부
, ➋
동일 수역에서 살생제 하드 코팅(hard, non-biocidal
非
에 대한 포집 없는 청소 허용
coatings)
, ➌
청소 후 검사 영상 보관 방법, ➍주변 부산물의 농
도 평가 기준 등이 있음.
▶
최종적으로 해당 지침서가 작업반을 통해 수정 보완되어 초안이 완성되었으며 위원회는
·
,
회원국에 향후 수중청소와 관련된 경험에 관한 자료 제출을 요청함.
* ISO 20679: Ships and marine technology.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.
Testing of ship biofouling in-water cleaning systems
특히 지침서 내
표준의 인용 여부가 주요 쟁점으로 논의됨 일부 회원국은 해당
,
ISO 20679
.
표준의 내용이
차원에서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침서에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고
IMO
주장했으나 결론적으로 해당 표준의 속성을 고려하여 예시적 성격으로 언급하는 문구를 기재
,
함으로써 타협이 이루어짐.
▶
아울러 수중청소 장비의 성능 기준에서는 방출 물질과 입자 크기 기준 설정에 관한 추가
,
적인 연구와 이행에 관한 경험 수집 필요성이 강조됨.
포집 장비가 없는 상태에서 살생제 하드 코팅을 청소하는 문제와 관련해 일부 회원국은
非
특정
조건에서 포집 없는
청소를 허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함 결론적으로 포집 없는 청소의 환경적
.
,
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문구가 지침서에 반영됨.
6
소식 국제해사동향 제
호
IMO
&
25-5
청소 후 검사 결과 사진 영상 등 의 데이터 보관 관련하여 관리 부담이 문제로 제기됨 이에
(
/
)
.
,
검사 기록을 반드시 선상에 보관할 필요 없이 선박 소유자나 운영자가 보관할 수 있도록 함.
다 국제해운에서 배출되는 블랙카본이 북극지방에 미치는 영향 의제
.
(
6)
선박 블랙카본 저감을 위한 극지연료 개념과 표준 개발이 주요 의제로 다뤄짐 일부 회원국은
‘
’
.
부속서 개정 방법 등을 제안하며 극지연료 기준 제정 필요성을 강조함
MARPOL
,
.
반면 다수 회원국은 극지연료의 물성 및 시험방법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 부족을 지적하며
,
,
엔진 운전조건에 따라 블랙카본 배출량이 크게 달라지므로 별도의 극지연료
‘
’
표준 개발이
어렵다고 강조함.
▶
결론적으로, 현시점에서 추가적인 연구 및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고
년 에
PPR 13(’26 )
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관련 문서를 제출할 것을 요청함 이에 기존
년이었던 논의 기한을
.
,
2025
년으
2027
로 연장함.
라 조건과 지역을 고려한 수질 환경에 배출되는
배출수 평가 및 지침 마련 의제
.
EGCS
(
7)
배출수 규제에 대한 회원국 간 합의가 이루어지지
EGCS(Exhaust Gas Cleaning System)
않아 작업 기한을
년까지 연장하고
에 구체적인 제안을 제출하도록 요청함
,
2026
PPR 13
.
▶
부속서 제 장 개정을 통한 규제 과학적 증거 기반의 지역 국가적 규제
MARPOL
VI
,
·
, 2021
지침 강화 등의 접근법에 대해 이견을 보임 이에 관련 데이터수집과 배출계수 개
EGCS
.
,
발이 필요하다고 결론짓고 회원국과 관련 국제기구에 문서 제출을 권고함
,
.
배출계수 개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추진과 관련해서
포털 플랫폼을 활용한
EGCS
IMO
데이터 제출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함 또한
배출계수 개발을 위해
를
.
, EGCS
GESAMP TF
재설립하고 작업반 위임사항
을 마련함
(ToR)
.
마
부속서 와 관련 지침서 개정 의제
. MARPOL
(
10)
Ⅳ
일부 회원국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현존선 분뇨처리장치에 대한 새로운 성능시험 및 지표분석
모니터링의 적용이 기술적 한계와 더불어 선주 부담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함 이러한
.
조치가 오히려 산업계에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도 함께 언급됨.
현존선 소급 적용과 관련하여 회원국 간 이견이 있어
에 공식 의견을 요청한 후 추후
MEPC
,
추가 논의를 진행하기로 함.
7
국제해사동향
바 선박 기인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조치계획의 후속 작업 의제
.
(
11)
<
선박 해양플라스틱 조치계획 전면 검토 >
년 채택한 선박 해양플라스틱 감축 조치계획
을 현행화하여 기존
2018
(Res. MEPC 310(73))
개 조치를 개로 정리함 개정된 조치계획은
에서 채택 예정임
30
19
.
MEPC 83
.
▶
주요 내용으로는 어구 관리 및 유실 방지가 강조되어 기존과 같이 내용이 유지되었고 플라스틱
,
펠릿 해상운송 강행규정 도입방안 마련이 추가됨 선박쓰레기 항만수용을 위한 시설 및 체계
.
구축 및 선박 해양플라스틱 연구 및 감축을 위한 국제협력이 강조됨.
<
유실어구 보고 규정 개발 관련 >
우리나라 포함 다수 회원국은 해양플라스틱의 주요 원인인 유실어구의 보고를 통한 데이터수집
필요성에는 공감하나 국가별 어업 특성이 다르고 어구 종류의 다양성을 고려해 실질적인 규제
,
이행의 실효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방향으로 규제가 개발되어야 함을 강조함.
어업활동 중 유실 또는 버려진 어구 발생 시 데이터수집 목적
,
*을 고려하여 선명과 등록번호는
자발적 보고로 선박 길이와 어선 종류는 의무 보고항목으로 정함
,
.
목적
* (
) ①해상에 버려진 유실 어구 분포 인벤토리 작성, ②어구 유실의 방지 방안 개발을 위한 기초
데이터 분석 지원, ③국제적 지역적 차원의 유실 어구 모니터링에 관한 정보 제공
·
▶
또한 어구 유실 정보와 관련해 유실이 발생한 위치 및 날짜는 의무 보고하고 시간과 유실
,
사유는 파악 가능한 경우에 보고하는 것으로 결정함 또한 어구의 종류 및 대략적인 유실 부
.
,
분과 양은 의무 보고하고 어구 식별번호는 자발적 항목으로 정함
,
.
<
플라스틱 펠릿 해상운송 규제 개발 관련 >
화물컨테이너에 수납된 플라스틱 펠릿의 해상운송 규제와 관련하여 그간
전문위원회에
PPR
제출된 강행규정 도입방안별 장단점 등을 수록한 정리표 안 를 작업반을 통해 개발함
( )
.
▶
가지 도입방안별 법적 검토사항 규정 이행 방안 사고 시 배상 산업계 영향 등에 관한
8
,
,
,
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세부내용에 대한 추가 검토 분석은
으로 이관함
,
·
PPR 13
.
황 대 중 전문연구원
hdaejung@imkmc.or.kr
8
소식 국제해사동향 제
호
IMO
&
25-5
트럼프 행정부 해운 규제 완화 관세 정책 강화 글로벌 해운업계 긴장
,
·
美
…
출처
(
: Splash247, ’25.1.29.)
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이후 해운 및 해사 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한 정책을
발표했음. 이러한 정책 변화는 국제무역과 글로벌 해운업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.
▶
초기 발표된 정책의 핵심은 보호무역 강화 해양 규제 완화 에너지 수출 확대로 미국
,
,
해운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음.
▶
이에 따라 해운업계는 미국의 정책이 미칠 주요 영향으로 운임 변동성과 무역 항로 재편
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음.
행정 정책 변화로는 해사분야 미국 주요인사 교체와 파나마 운하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 확대를
추진 중임. 이는
미
국의 해상 주권 강화와 관련된 조치로 해석되며 글로벌 물류 흐름에 영향을
,
미칠 가능성이 있음
.
▶
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연방해사위원회
의 새로운
(Federal Maritime Commission, FMC)
수장으로 루 솔라(Lou Sola)*를 임명하며 해운산업 규제 완화를 추진할 것으로 보임 또한
.
,
해안경비대
사령관 교체
(USCG)
**를 단행하며 해양 환경 보호보다 안보 및 산업 보호를
중시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변경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분석됨.
* 해운물류 산업에서 오랜 경력을 쌓아오며 트럼프 대통령의 친기업 정책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짐
최초의 여성
사령관인 린다 페이건은
**
USCG
해양 환경 보호 정책을 적극 추진해왔으나 트럼프 행정부의
,
정책 기조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경질된 것으로 분석됨
▶
또한 파나마 운하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 회복을 위한 정책 검토도 진행 중이며 이는 중국의
,
무역 확대를 견제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됨.
무역정책 관련 월
, 2 1
일부터 캐나다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
관세 부과 시행을 발표하였으며
·
25%
,
중국과 제품
EU
에도
추가 관세 부과를 검토 중임을 밝힘
10%
.
▶
특히 컨테이너선과 벌크선 시장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전망이며 이는 보호무역주의 강화로
,
인해 해운 운임 변동성이 증가하고 미국 선사의 국제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음.
환경 및 에너지 정책 측면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파리협정
공식 탈퇴
(Paris Agreement)
,
9
국제해사동향
해상 풍력발전 프로젝트 중단 전기차 보조금 및 친환경 에너지 지원 철회 등이 핵심 변화로 나타남
,
.
▶
미국은 친환경 기조에서 벗어나 전통적인 화석연료 산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
있음 트럼프 대통령은 신규 해상 풍력발전 단지 임대 중단을 지시했으며 연방정부 소유
.
,
토지를 석유 및 가스 탐사용으로 추가 개방하는 정책을 추진 중임.
▶
또한 전략적 비축유
재보충 계획과 함께
수출
,
(Strategic Petroleum Reserve, SPR)
LNG
터미널 허가를 재개하면서 미국산 석유 가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음
,
·
.
▶
이러한 변화는 유조선 및
운송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지만
의
LNG
, IMO
환경 규제와 미국의 정책이 충돌할 가능성이 커짐 선사들은 미국 내 환경 규제가 완화됨에
.
따라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
규제를 만족해야 하는
,
IMO
이중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.
결론적으로 미국 트
,
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과 환경규제 완화는 전 세계 해운업계에
상당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
보임
.
따라서 업계는 불확실한 무역 정책과 규제 변화를 고려한
전략적 대응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.
▶
미 중 무역 긴장이 심화될 경우 중국의 곡물 철강 제품 수입 경로가 변경될 가능성이
·
,
·
있으며 대체 무역로가 나타날 가능성도 존재함 또한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해 글로벌
,
.
,
해운 운임 변동성이 증가할 전망임.
▶
미국 해운기업들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면서 미국 선사들의 국제 경쟁력이 상대적으로
,
높아질 가능성이 있음.
▶
파리협정 탈퇴 및 환경 규제 완화로 인해
환경규제와의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면서
IMO
,
친환경 연료 및 탄소 저감 기술 적용에 대한 마찰이 예상됨.
▶
전문가들은 이러한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단기적으로 해운업계에 불확실성을 초래하지만,
장기적으로는 새로운 무역 기회가 창출될 수도 있다고 분석함.
박 다 영 연구원
iris23@imkmc.or.kr
10
소식 국제해사동향 제
호
IMO
&
25-5
사라진
척의 선박이 폐기된 식별번호 사용
IMO Number, 28
출처
(
: Lloyd’s List, ’25.1.31.)
년 월 국제해운 데이터 분석 결과
척의 선박이 이미 폐기된
2025 1
, 28
IMO Number*
를
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남 이는 해운 보안의 허점을 드러내는 사례로 특히 제재 회피와
.
,
불법 해운활동에 악용될 위험이 큼.
*
는 선박의 영구적인 식별번호로 소유권이 변경되거나 선박이 해체된 후에도 유지되어야 하지만
IMO Number
,
,
자동식별시스템 를 통해 번호가 변경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
AIS(
)
제조업체에 따르면
입력에 대한 보안이 허술하여 단순한 비밀번호
AIS
, IMO Number
수준으로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지적됨.
▶
일부 장비에서는 기본 설정된 비밀번호가
으로 되어 있어 관리자가 쉽게 수정할 수
"0000"
있는 구조임
수동 설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간의 실수나 폐기된 선박의
송신기
. AIS
AIS
재사용 가능성도
위 변조의 원인으로 제기됨 그러나 일부 선박은
IMO Number ·
.
고의적으로 정체를 숨기기 위해 이러한 조작을 시도하는 정황이 포착됨.
자동식별시스템
출처
<
(AIS).
: Clipper >
▶
이번 분석에서 적발된 척 중 척은
의 글로벌통합해운시스템
에 등록되지
28
18
IMO
(GISIS)
않은
해상이동서비스식별번호 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특히 중국 국적
MMSI(
)
.
,
선박 척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됨
6
.
▶
폐기된
는 일반 화물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컨테이너선과
IMO Number
,
유조선에도 사용됨.
11
국제해사동향
▶
대표적인 사례로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
의 제재를 받은
,
(OFAC)
Aframax
호는
년 월부터
데이터를 조작하여
호로
Frunze(IMO: 9263643)
2024 10
AIS
Skyril
운항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음.
호의 위치 출처
< ‘Aframax Frunze(IMO: 9263643)’
.
: Lloyd’s List Intel igence >
▶
위의 왼쪽 이미지는 지난 월
호의 마지막 움직임을 보여주는데 이 기간 동안
10 Frunze
,
호는 스푸핑
위장 을 하고 있음 오른쪽 이미지의 파란 점들은 인식되지
Frunze
(spoofing,
)
.
않은 신규
와 관련된 최초 위치들을 나타내며 이 점들은
호의 마지막
MMSI
,
Frunze
위치와 일치함
전송은
호가 선박명
및 호출 부호를 변경하기
. AIS
Frunze
, IMO Number
전에 새로운
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줌
MMSI
.
는
시스템 조작 문제를 인지하고 있으며 항해통신 수색구조 전문위원회
를
IMO AIS
,
·
(NCSR)
통해 보안 강화 방안을 논의 중임
는 향후
초고속 해상데이터 교환시스템 를
. IMO
VDES(
)
해상인명안전협약 에 도입하여
보안 취약점을 개선할 계획이지만 기존
SOLAS(
)
AIS
,
IMO
조작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현재로서는 제재 회피 및 불법행위 방지를
Number
,
위한 국제적 대응이 시급한 상황임.
송 다 영 전문연구원
songd89@imkmc.or.kr